반응형

전체 글 1362

신탁부동산 임대차의 위험성 가급적 임차하지 않는 편이 낫다

얼마 전 지인 분께서 급하게 임대할 주택을 구하다가 마땅한 것이 나와서 덜 컥 계약금부터 넣고 보니 해당 부동산이 신탁이 되어져 있다고 합니다. 등기부를 확인해 보니 저당권 설정이 된 것도 없고 그래 보인다고 하더군요. 보통은 신탁등기가 되어 진 것이라면 담보신탁인 경우가 가장 많을 것으로 여겨 집니다. 신탁관련 해서는 종류도 몇 가지가 있고 용어도 어렵고 하니 어려운 용어를 배제하고 간단하게 담보신탁에 대해서만 아주 쉽게 설명 드려 보자면... 아주 쉽게 말해서 담보신탁이라고 하는 것이... 돈 빌려주면 일단은 부동산 소유권 넘겨 줄 게입니다. 결국 돈 빌리고 소유권은 신탁회사로 넘어가 있으니 해당 부동산에 근저당이니 뭐니 설정을 따로 할 필요가 없어서 등기부는 깨끗해 보이나 ‘신탁원부’라는 것을 확인..

영화 인턴으로 영어공부 하기 해석연습1

영어 공부라는 것은 정말 끝이 없는 듯 합니다. 중.고교 시절부터 대학생때 까지 영어를 공부했지만 외국영화를 자막이 없으면 이해를 못하는 수준의 영어... 머리 좋은 대한민국 사람들의 영어공부는 왜 이모양이 되었는지 저역시도 저 자신을 뒤돌아 보면 답답하다는 생각이 드네요. 오늘부터 매일 조금씩이라도 추천받은 영화 인턴을 독해 해 보고 입으로 따라해 보려고 합니다. 쉽지는 않을 테지만 끝까지 잘 마무리 해 보고 싶네요. 첫번째 대사 입니다. 첫 장면에서는 영화의 주인공이자 인턴역할로 나오는 Robert De Niro(로버드 드 니로)가 이렇게 말합니다. Freud said, "Love and work. Work and love. "That's all there is." 프로이드는 말했습니다. 사랑과 일,..

영어공부 2022.12.08

아파트 가격전망 어떻게 될까? 6월 주택거래량 추이, 거래량은 줄고 매물은 쌓이고 금리는 올라가고

향후 아파트 가격전망은 어떻게 될까요? 국토부에서는 지난 2022년 6월 전국주택 통계를 발표하였습니다. 거래량이 충격적인데요. 주택거래량을 통해서 향후 아파트가격을 전망해 볼 수가 있을 듯 합니다. 통계추이를 살펴보자면 한동안 아파트 가격전망이 매우 어둡다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을 듯 합니다. ■ 전국 주택거래량 큰폭으로 감소 전년 동월대비 마이너스 43.4% 2022.6월 주택 매매거래량은 총 50,304건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전월인 5월에는 매매거래량은 63,200건으로 전월대비 20.4% 감소, 전년 동월(‘21.6월, 88,922건) 대비해서는 43.4% 감소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5년 평균(89,084건) 대비 43.5% 감소한 것으로 확인 되었습니다. 2022.6월까지 누계 주택 매매거래량은..

사회 시사 2022.07.29

[E12-273] 경남 함안군 대산면 장암리에 소재한 토지 매매, 수목장 자연장지 추천 남향, 창원 차량30분내 접근가능

안녕하세요. 명가공인중개사무소 유소장 입니다. 경남 함안군 대산면 장암리에 소재한 토지 매매건 입니다. 이곳은 인근 창원 도심까지 차량 30분내 접근 가능한 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차량 출입이 용이한 넓은 도로와 가까운 곳에 인접하고 있어서 접근성이 편리한 곳의 토지 입니다. 매매 문의 명가공인중개사사무소 중개업등록번호 48740-2016-00001 창녕군 남지읍 남지리 289-59 T. 055-536-4982 M. 010-9996-7929 소장(공인중개사) : 유청남 명가부동산TV 유튜브채널 : https://goo.gl/YzfmBw 창녕부동산, 함안부동산, 의령,합천 부동산, 산청전원주택지매매, 창녕촌집, 창녕땅, 함안 촌집 시골집 단독주택 매매, 아파트, 빌라, 상가, 공장 임대매매 전문 ※ 현장안내..

2022년 8월 18일 부터는 농막설치도 농지대장 변경신청 사유에 해당, 관련된 분들의 각별한 주의필요

농지법개정에 따라 오는 2022년 8월 18일 부터는 모든 농지에 농지대장이 만들어지게 됩니다. 농지대장과 관련하여 여러 번 다루는 이유는 농지보유자분들에게 매우 중요한 이슈 중 하나이며 자칫하면 엄청난 과태료가 부되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아래 내용은 농막을 설치하고자 하시는 분들의 경우 반드시 숙지해 두셔야 할 내용 입니다. 특히나 소규모 농지를 구입하여 농막을 설치하고자 하시는 분들의 경우 농지대장 변경신청을 누락하거나 최초 신고와 달리 불법 증축한 부분을 허위 신고하여 불이익을 당하시는 일이 없도록 각별한 주의가 필요해 보입니다. 2022년 8월 18일 시행되는 농지법 농지법 제49조의2에서는 농축산물 생산시설을 설치하는 경우 농지대장 변경신청을 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농지법 (..

카테고리 없음 2022.07.21

창녕군 야생동물 피해예방시설 지원받으세요. 2022년도 제2차

창녕군 관내 농경지, 임업지 등을 소유 또는 임차하여 실제 경작을 하고 계신 분들 중 야생동물로 인한 피해를 입고 계신 분들은 아래 내용을 참고 하셔서 피해예방시설 지원을 받아 보시기 바랍니다. 전액지원은 아니며 설치비의 60%까지 지원이 됩니다. 창녕군 공고 제2022-1224호 2022년도 제2차 창녕군 야생동물 피해예방시설 설치 지원 사업 계획 공고 2022년 7월 18일 창 녕 군 수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근거하여 추진되는 2022년도 제2차 창녕군 야생동물 피해예방시설 설치 지원 사업 계획을 다음과 같이 공고 합니다. 1. 신청자격 ○ 관내 농경지, 임업지 등을 소유 또는 임차하여 실제 경작하는 자로서 야생 동물로 인한 농·임업상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예방시설을 설치하고자..

사회 시사 2022.07.19

창녕군 계성면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 확인하세요.

오늘은 전국적으로 비가 많이 내리고 있네요. 창녕군에서는 지난 2022년 7월 15일 집중호우로 인한 하천수위 상승 및 내수배제 불량으로 상습적인 침수가 발생하였으며, 주거지 및 상업시설, 농경지의 피해 발생 우려가 매우 높은 지역에 대한 고시공고를 하였습니다. 해당지역은 경상남도 창녕군 계성면 계성리 1289-1번지 일원 입니다. 해당지역 주변의 토지거래나 주택등을 구입하고자 하시는 분들께서는 본 내용을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창녕군 고시 제2022 - 69호 계성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 지정 고시 「자연재해대책법」제12조제1항의 규정에 따라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를 지정 고시하고, 『토지이용규제 기본법』제8조 및 같은법 시행령 제7조의 규정에 따라 지형도면을 고시합니다. 2022년 7월 15일 창 녕 군 수..

사회 시사 2022.07.18

토지합병 토지소유자의 주소가 달라도 가능해 진다

토지합병을 위해서는 지목이 같아야 하고, 합병하려는 토지가 연접해 있어야 하며(서로 붙어 있어야 하며), 토지의 소유자가 같아야지만 합병을 할 수가 있습니다. 이중 하나의 조건이라도 맞지 않는다면 합병을 할 수가 없습니다. 합병은 방문신청으로도 가능하고 인터넷을 통해서 수수료 천원이면 쉽게 합병을 할 수가 있었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사람들이 이사를 자주다니다 보니 토지별로 기재된 소유자의 주소가 다르게 되면 합병신청이 안되서 합병하려는 토지의 소유자 주소를 일치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습니다. 국토교통부에서는 토지소유자의 주소가 달라도 토지합병이 가능해지도록 규제를 완화하도록「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을 개정(1.18)한 제도가 7월 19일부터 시행된다고 밝혔습니다. 그동안 토지..

사회 시사 2022.07.18

주요 농업정책자금 원금상환 1년간 유예

코로나상황, 우크라이나 사태 등으로 인해서 국내외 경제사정이 그리 좋지 않은 편 입니다. 아울러 긴 가뭄과 마른 장마로 인해서 농민들의 시름 또한 깊어지고 있는 상황인데요. 7월 14일 농림축산식품부 보도자료에 따르자면 농림축산식품부는 우크라이나 사태 등 영향으로 커지는 농가 경영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올해 말까지 상환기일이 도래하는 주요 농업정책자금의 원금 상환을 1년간 유예한다고 밝혔습니다. 당장 올해 원금상환기일이 도래하는 농민들은 일단 한숨을 돌릴 수가 있을 것 같네요. 농식품부는 최근 농자재 가격 급등, 금리 인상 등으로 농가 경영 부담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농가 금융부담을 완화하고 연체 등에 따른 신용도 하락을 최소화하여 안정적인 영농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기존에 시행 중인 금리 인하 조치*에 ..

사회 시사 2022.07.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