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부동산지식192

땅보는 계절 겨울에 땅을 봐야 하는 좋다고 하는 이유, 꼭 그렇기만 할까요? 여전히 덥긴 하지만 이제 얼마 지나지 않으면 여름이 끝나고 시원한 가을이 올 것이라 생각 합니다. 무더운 여름이 이제는 곧 끝나갈 쯤 이 글을 올리는 이유는 괜한 오해를 피하기 위함입니다. 혹여 여름철 부동산 비수기에 땅을 팔기 위해서 이런 글을 올린다 하실 수도 있으니 말입니다. 일반적으로 땅은 겨울에 보는 것이 좋다고 이야기를 합니다. 대체로는 맞지만 꼭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습니다. 여러분들이 찾는 땅들은 대부분 2~300평 내.외의 전원주택지가 상당수 일 것입니다. 따라서 너무 틀에 박힌 고정관념을 가지게 되면 자칫 실수를 범할 수도 있다는 사실 몇 가지를 짚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왜 겨울에 땅을 봐야 한다고 이야기를 할까요? 다들 많이 들어서 잘 알고 계실 테니 겨울철에 토지를 봐야 하는 이유를.. 2020. 8. 21.
시설 권리금을 준 경우 계약만료시 상가원상회복의 범위 계약전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분쟁소지 예방 예전에 저희 사무실로 상가 임대차 계약을 하러 오신 분이 계셨습니다. 이 경우는 건물주가 사용하던 영업시설을 새로 들어온 임차인 분에게 무상으로 주신다고 하시더군요. 그래서 제가 여쭈었습니다. "무상으로 주는 시설물은 계약 끝나면 누가 철거를 하는 건가요? " "주인분이 공짜로 준 것이니 당연히 철거는 세입자가 해야 되나요? " 라고 말씀 드리니 두 분다 어떻게 해야 할지를 즉시 대답하지 못하시더군요. 바로 이런 경우가 계약 종료 시 분쟁의 소지를 남겨 두게 되는 것입니다. 상가임대차에서 상당히 많이 발생하는 문제중의 하나가 계약만료 시 원상회복에 관한 부분입니다. 공실 상태로 입주를 했다면 다시 처음의 공실 상태로 원상회복을 해 놓고 나가면 되지만 이전 세입자가 시설을 설치해 둔 것을 권리금을 주고 인.. 2020. 8. 20.
시골땅 전원주택지 왜 생각보다 비싸다고 여겨 질까? 무슨 시골 땅값이 이리도 비싼지? 많은 분들이 시골하면 땅값이 일단은 저렴할 것이라고 생각을 합니다. 물론 대부분의 시골땅의 가격은 도시에 비해서 정말 훨씬 저렴하긴 합니다. 그러나 전원주택을 짓기 위한 토지를 찾게 되면 생각보다 높은 가격에 놀라게 됩니다. 왜 그렇게 될까요? 실제 통계자료를 통해서 그 이유를 짚어 보고 좋은 땅을 구입하기 위해서는 많이 공부를 하고 발품을 팔아야 하는지를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첫번째로는 건축행위가 가능한 용도의 토지가 적기 때문 농촌지역의 경우 소위 말하는 절대농지 즉 농업진흥구역의 토지와 개발자체가 거의 불가능한 임야등을 제외하고 나면 건축행위가 가능한 용도지역의 토지는 생각보다 그리 많지가 않습니다. 농촌지역의 용도지역은 일부 대부분 농림지역 아니면 관리지역에 .. 2020. 8. 17.
귀농귀촌 전원주택짓기의 가장 많은 실패 사례… 요즘 유튜브를 통해서 전원주택이나 혹은 토지매물을 접하기도 어렵지 않고 좋은 정보들이 넘쳐나다 보니 그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내 눈에 딱 들어오는 전원주택이나 토지를 구하러 다니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전원주택을 지으시려는 분들의 가장 많은 실패 사례를 단계별로 짚어 보고 혹시 여러분은 그런 경우에 해당 되고 있지는 않은지를 살펴 보시기 바랍니다. 1단계 멋진 전원주택 보러 다니기 산 좋고 물 좋은 곳에 지어진 전원주택들을 보니 모두다 몇 억씩은 합니다. 뭐 특별히 외관도 내 맘에 들지 않고 내부 인테리어도 별로인 듯 한데 몇 억씩 하니 그 때 부터는 주변 토지시세와 평당 건축비를 생각하며 나름의 계산기를 두드려 보니 작게는 몇천에서 억단위로 비싼 거 같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2단계 전원주택이 생각보다 .. 2020. 5. 1.
전월세 임대차 계약 연장시 자주묻는 질문, 언제 말해야 하나요? 계약서는 다시 써야 하나요? 부동산 일을 하다보면 가장 많이 받는 질문 중 하나가 살고 있는 집의 전.월세등 임대차 계약갱신에 관한 것입니다. 계약갱신시 많이 받는 질문 중 몇 가지를 설명 드려 보겠습니다. 그런데 중요한 사항을 잘모르고 있다가 임차인 집주인 상호간 불편한 상황을 맞이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어떤 내용을 자주 묻고 그 질문에 어떻게 대답을 해야 하는 지 간략히 짚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집주인에게 계약 연장 의사를 밝히는 건 언제쯤 하면 되나요? 아무 말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아무 말 하지 않으면 집주인이 계약해지 의사를 밝히지 않는 이상은 계약이 묵시적 갱신이 되어 자동으로 2년이 연장 됩니다. 주택임대차보호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조항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한가지 의문점이 드는 것이 있죠? 임차인이 실.. 2020. 4. 29.
미등기 무허가 건물 매매시 주의사항 토지 지목이 농지인 경우 예전에 시골집을 구입하려고 할 경우 자주 보게 되는 미등기 무허가 건물매입시 유의사항을 살펴 본 적이 있었습니다. 관련 글은 아래 링크를 참고 해 보시기 바랍니다. 지목이 대지로 되어진 경우에는 미등기 무허가 건물을 매입할 경우라도 건물이 아닌 토지의 소유권이전에는 별다른 문제는 없습니다. 그러나 지목이 농지인 경우에는 건물 뿐만 아니라 토지의 소유권이전 자체가 안되는 커다란 문제가 발생을 할 수가 있습니다. 이번 영상에서는 드문 경우이긴 하지만 지목이 농지로 된 토지에 미등기 무허가 건물이 있는 경우 주의 사항을 간략히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사례를 통해서 살펴 보기 화면으로 보이는 토지는 지목이 전으로 된 토지로 등기부나 건축물 대장상에는 건물이 존재하고있지 않은 토지 입니다. 그런데 위성지도상으로.. 2020. 4.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