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부동산지식/세금상식27

부동산 취득세 신고납부 및 알아두어야 할 기본적인 사항 공인중개사를 통해서 부동산 거래를 하게 되면 등기이전을 할때에 알아서 법무사를 통해서 등기이전과 취득세 납부를 할 수가 있기 때문에 취득세 신고 납부에 대해서는 크게 신경을 쓸 필요가 없을 테지만 개인간에 부동산을 직거래 할 경우에는 간략하게 나마 취득세 신고 납부에 관한 내용을 알아 두시면 좋을 듯 합니다. 물론 개인간의 직거래의 경우에도 등기이전부분을 법무사에게 맡긴다면 취득세 신고 납부에 관한 사항은 크게 신경쓰실 필요는 없습니다.그러나 매매계약 및 부동산 등기까지 직접 하고자 할 경우에는 취득세 신고납부에 관한 사항을 조금이라도 알아 두실 필요가 있을 듯 합니다. ■ 취득세 신고납부 및 알아두어야 할 것들이 있다면? 1. 취득세 신고납부기간 지방세법상 취득세는 과세물건을 취득한 날로부터 60일 이.. 2015. 11. 22.
주택임대소득과세대상 및 기타 알아두어야 할 사항 우리나라 임대주택 시장은 전세가의 고공행진, 저금리 등으로 인해서 점차 전세는 사라져가고 있고 우리나라에서만 있는 독특한 주택임대형태인 전세가 앞으로는 거의 사라져 버리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게 됩니다.이제는 주택 임대차시장은 월세시장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듯 합니다. 이런 상황에 따라 주택임대소득과세대상이 어떻게 되는가에 대한 것도 정확히 알아 둘 필요가 있을 텐데요.우리나라에서는 소득세는 알아서 신고를 해야 하는 것이므로 주택임대소득과세대상이 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신고를 하지 않아서 자칫 탈세로 인한 추징을 당할 수도 있기에 주택임대를 하고 계신 분들은 이러한 사항을 살펴 두실 필요가 있다고 여겨 집니다. ■ 주택임대소득과세대상 그 범위와 비과세 대상은? ▷ 주택임대소득과세대상 및 비과세대상 (.. 2015. 6. 17.
재산세부과기준 및 재산세납부 대상 살펴보기 재산세는 지방자치단체가 부과하는 지방세로 재산이 있다면 해당 지자체에서 알아서 계산을 해서 부과를 하는 보통세에 해당이 되는 세금 입니다. 일단은 은행자금을 잔뜩 끼고 집을 가지고 있던지 말던지 간에 그냥 특정 재산을 가지고 있다면 부과가 되는 세금이 바로 재산세라고 하는 것이죠. 물론 지자체가 알아서 계산을 해서 고지서를 발송을 한다고는 하지만 과연 내가 매년 내고 있는 재산세납부가 어떻게 되고 있는지 그리고 재산세부과기준은 어떻게 되는지에 대해서 어느 정도는 생활지식 수준으로 알아 두신다면 지금 재산이 있는 분들 뿐만 아니라 향후 주택등을 구입하실 때도 도움이 되실 것이라 여겨 집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일반인들에게 적용이 가장 많이 될 주택만을 가지고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 재산세부과기준 및 재.. 2015. 6. 2.
증여세 절감방법 부담부증여 및 매매로 하기 증여세 절감방법, 어떻게 하면 좋을까? 얼마전 멀리 사시는 고모님께서 하나밖에 없는 우리 어머니이자 하나밖에 없는 올케의 생일이라는 이유로 너무나도 먼 곳에서 70이 넘으신 연세에도 불구하고 찾아오셔서 오랜만에 고모님과 저의 어릴적 추억을 떠올리기도 하면서 즐거운 시간을 보냈었습니다.고모님께서는 오래전 부터 땅에 관심이 많으셨던 터라 제법 많은 땅을 보유를 하고 계신 것으로 알아서 여쭤 보니 그렇지 않아도 20년전에 샀던 토지를 자녀에게 증여를 하려고 준비를 하고 계시더군요.그래서 증여세 절감방법을 몇가지 알려 드리긴 했었습니다.세법을 잘 활용하면 탈세가 아닌 절세를 어느 정도는 할 수가 있다는 것을 말씀 드리면서 증여세 절감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간략히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 증여세 절감방법,.. 2015. 5. 28.
주택취득세계산 방법 위텍스 자동계산기 활용하면 너무 쉬워 요즘에는 주택을 구입함에 있어서 과거에 비해서는 취등록세가 상당히 낮아진 편이고 1세대 1주택 등의 과세조건도 완화가 되어 주택보유수를 구분을 하지 않고 일률적인 취득세율을 매기고 있습니다.말로써 간단히 설명을 드려 보자면 주택 취득가액이 6억원 이하인 주택의 경우 취득금액의 1%, 6억초과에서 9억 이하인 경우에는 2%, 9억원 이상이면 3%를 일률적으로 정하고 있습니다.여기에 농어촌특별세를 부과하게 되면 6억원 이하의 주택인 경우에는 취득금액의 1.1%를 주택구입에 따른 세금으로 낸다고 생각을 하시면 되는데요.좀더 확실한 주택취득세계산 방법을 위텍스 홈페이지를 통해서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 위텍스 홈페이를 이용한 주택취득세계산 방법 참고로 주택취득세는 등기등록까지를 포함한 취등록세라는 것을 미리.. 2015. 5. 14.
직접세와 간접세 조세분류에 대한 이해 우리가 내고 있는 세금은 우선 크게 두가지로 나눠보자면 과세권자에 따라서 국세와 지방세로 나눌 수가 있습니다.국세에는 익히 자주 들어 봤던 종합부동산세, 양도소득세, 증여세, 상속세, 농어촌특별세, 부가가치세 등과 같은 것이 있구요. 지방세의 경우에는 재산세, 취득세, 등록면허세 등이 대표적인 지방세라 할 수가 있을 듯 합니다. 그렇다면 이렇게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거두어 드리는 세금은 다시 크게 세금을 거두어들이는 방식에 따라서 직접세와 간접세로 나뉘어 지게 되는데요.간략하게 나마 직접세와 간접세에 대한 설명을 쉽게 드려 보도록 하겠습니다. ■ 직접세와 간접세의 구분 ▷ 직접세 어려운 용어로 이야기를 해 보자면 직접세는 납세의무자와 담세자가 일치 것으로 예견되는 일반적인 조세를 의미 합니다. 느낌으로는.. 2015. 5.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