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비즈니스 경제 증권215

블록세일 (block sale)과 주식시장에서의 영향 블록세일 이라고 하는 용어를 검색해 보면 주식시장에서 대규모 지분을 매각할 경우 활용되는 매매기법이라고 나와 있습니다. 지분 매각을 할 때에 그냥 큰 덩어리 하나를 뚝 떼어서 일괄적으로 판매를 하는 것이라 볼 수가 있죠. 얼마만큼의 물량을 팔 것인지 그리고 얼마의 가격에 판매를 할 것인지를 사전 협의를 통해서 회사 내부적으로 미리 정하고 누구에게 팔 적인지도 미리 정하고 주식시장에서의 거래가 아닌 장외거래나 시간외 거래를 통해서 매매가 이루어 지기 때문에 주가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설명을 하고 있으나 블록세일은 대부분 주가에 큰 영향을 주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 블록세일 (block) 주가에 영향을 주는 이유는? 블록세일이라고 하는 것은 대체로 지분을 큰 덩어리로 묶어서 판매를 하는 것이기에 마.. 2014. 12. 2.
양도성 예금증서 (CD, Certificate of Deposit) 그리고 금융실명제 최근 차명거래 제한을 강화한 금융실명제가 이슈화가 되면서 돈 좀 있으신 분들의 경우에는 대량으로 은행에서 돈을 인출해 가는 일이 있었다고 하는데요.금융실명제가 강화가 되었다고 해서 돈이 많은 분들이 여유자금을 숨길 곳이 없는 것은 아닐 듯 합니다. 금을 사서 그냥 개인 금고에 넣어 둬도 되고 주식이나 채권을 사 두거나 혹은 양도성 예금증서 CD(Certificate of Deposit) 같은 것을 사 둬도 될테니 말입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금융실명제가 강화가 되었으나 실명거래를 하지 않아도 되는 양도성 예금증서 CD(Certificate of Deposit)에 대해서 간략히 이야기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양도성 예금증서 CD(Certificate of Deposit)와 무기명 거래 ▷ 양도성 예금증서.. 2014. 12. 2.
재할인율 정책 여.수신제도란 어떤 의미인가? 중앙은행의 통화정책으로는 공개시장조작, 지급준비제도, 여수신제도와 같은 것들이 있는데 이중 여.수신제도 안에 들어가는 것 중의 하나가 바로 재할인율 정책이라고 하는 것입니다.늘 경제용어를 접하면서 느끼는 불만은 좀 쉬운 용어를 사용하면 좋을 텐데 참 용어 자체가 쉽지가 않아서 매번 이렇게 뜻 풀이를 해야 한다는 것이 아쉽긴 합니다. 용어 자체만 딱 봐도 무슨 뜻인지 짐작이 가는 그런 경제용어들이 정말 잘 만들어진 경제용어가 아닌가 합니다.여튼 뭐 재할인율 정책이 어떤 것인지 간략하게 살펴 보겠습니다. ■ 재할인율 정책 재할인율 정책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업어음(CP)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데 아래 다른 포스팅에서 회사채와 기업어음에 관한 내용을 언급해 둔 것이 있으니 보다 자세한 이해를 원하시는 분은 참고.. 2014. 12. 1.
경상수지 흑자 또는 적자에 대한 의미의 이해 경상수지가 32개월 연속 흑자행진을 이어나가고 있다는 소식이 있지만 피부로 느끼는 우리나라 경제상황은 경상수지 흑자소식과는 달리 좋다고 느끼는 분들은 별로 없으실 겁니다. 이유는 바로 불황형 흑자구조 이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지난해 수출을 100만원어치 하고 수입을 99만원어치 했다고 하면 1만원 흑자가 난 것이긴 하지만 올해 수출을 50만원어치 했는데 수입이 49만원이 되면 무역규모는 반으로 축소가 되었는데 역시나 1만원 흑자가 발생한 것이긴 하지만 무역규모는 반토막 난 것이라 이런 흑자는 사실 그리 반가운 흑자는 아니라는 것이죠.달리 표현하자면 100만원 벌어서 99만원 쓰다가 경기가 나빠져 50만원 벌어서 49만원 써도 흑자라는 것이기 때문 입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매월 한국은행에서 발표하고 있.. 2014. 11. 28.
가공무역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을까? 어제 Daum뉴스를 보니 주요 뉴스기사로 우리나라가 32개월 연속 경상수지 흑자행진을 기록하고 있다는 보도가 있었습니다. 물론 최근의 경상수지 흑자는 불황형 흑자형태라 아주 반가운 것 만은 아니지만 그래도 적자가 나는 것 보다는 낫긴 하겠죠. 우리나라의 2014년도 10월 수출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2%나 감소해 5년 2개월 만에 가장 큰폭으로 줄었던 것으로 조사가 되고 있습니다. 수출감소의 원인은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그 중에서도 가공무역의 위축이 영향을 미쳤다고 하더군요. 그래서 경제관련 기사에서 종종 등장을 하는 가공무역이란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인지를 설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가공무역의 이해 ▷ 가공무역의 개념 이 용어의 의미는 외국으로 부터 원자재나 또는 부품등을 들여와 그것을 .. 2014. 11. 28.
생산자물가지수 (PPI, Producer Price Index) 이해 및 동향 물가지수에는 생산자물가지수 뿐만아니라, 소비자물가지수, 수출,수입, 국내공급, 총산출물가지수 등 다양한 것들이 있습니다만 주로 경제관련 기사를 보면 소비자물가지수(CPI, Consumer Price Index)와 생산자물가지수 (PPI, Producer Price Index)에 관한 이야기가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는 매월 한국은행에서 조사를 해서 발표를 하기 때문에 매번 언론기사에서 보도가 되는 것이기도 하구요.예전 다른 포스팅에서 소비자물가지수에 관한 내용한 포스팅을 한 적이 있기에 좀더 자세한 사항을 확인해 보고 싶다면 다른 포스팅인 (소비자물가지수 명목금리 실질금리 등 이해해 보기) 를 참고해 보시기 바랍니다. ■ 생산자물가지수 (PPI, Producer Price Index)란? ▷ 생산자물가.. 2014. 11.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