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1362

고갱 과일풍경 도난 후 44년만에 나타난 그림의 소유주는 누가 될까?

폴 고갱은 1848년 6월 7일 프랑스에서 태어 1903년 5월 8일까지 생존했던 반 고흐와 함께 후기 인상주의 대표적인 화가로 불리우죠.우리가 잘 알고 있는 반 고흐가 귀를 자른 사건에 대해서는 고갱이 자신의 작품에 대한 충고에 대해 모욕을 느끼어 분노를 이기지 못해 자신의 귀를 잘랐다고 하는 이야기는 한번쯤은 들어 보셨을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어떤 이야기에서는 두사람이 심하게 다투던 와중에 고갱이 펜싱칼로 고갱의 위를 잘라버렸다는 이야기도 있고 어떤 이야기에서는 고흐를 물질적, 정신적으로 지원했었던 남동생 테오로가 사랑하는 사람이 생겨 결혼할 것이란 편지를 받고 상실감 때문에 귀를 잘라 버렸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여튼 고갱을 이야기 하려면 고흐의 이야기를 빼 놓을 수가 없어서 서두에 잠깐 고흐에 대..

사회 시사 2014.11.22

파데레프스키 폴란드의 피아노치는 대통령 이야기

폴란드 하면 위대한 음악가인 쇼팽이 먼저 생각 나실텐데 그에 못지 않게 국민들에게 사랑을 받았던 인물인 이그나치 얀 파데레프스키라고 하는 폴란드의 피아니스트이자 작곡가라는 인물이 있었습니다. 음악을 사랑하였고 더불어 폴란드를 사랑했던 파데레프스키의 생애에 감동적인 이야기는 많은 사람들에 의해서 회자가 되고 있는데요. 1차대전이 끝난 후 폴란드의 초대 수상이였던 파데레브스는 정치인의 경력 보다는 음악가로서의 경력이 더 화려하기에 그를 피아노치는 대통령이라 표현을 하기도 합니다. ■ 피아노치는 대통령 파데레프스키의 감동실화 ▷ 음악가로서의 파데레프스키 이그나치 얀 파데레프스키는 1860년 11월 18일 폴란드의 쿠리를후카에서 태어났던 인물로 어린시절 부터 피아노에 재능을 보였고 세계적인 작곡가이자 피아니스트..

사회 시사 2014.11.22

제인맨스필드 마릴린먼로의 아류로 불리우던 비운의 여배우

만약 마릴린 먼로(Marilyn Monroe)라고 하는 배우가 없었다고 한다면 제인 맨스필드라는 여배우는 그 시대의 최고의 헐리우드 스타이자 금발의 미녀로 기록이 되었을 지도 모를 듯 합니다. 마릴린먼로가 1926년생이고 제인맨스필드는 1933년생이니 마릴린먼로보다는 7살이나 어려 마릴린먼로 보다는 조금 늦게 영화계에 데뷔를 했었지만 그 시대의 육체파 배우로 인정받기에 충분한 미모와 풍만한 몸매를 가지고 있었으니까요.하지만 늘 마릴린먼로의 그늘에 가려 마릴린먼로의 아류로 불리우는 불명예를 겪어야 했었고 결국 34살의 나이에 교통사고로 사망을 했던 비운의 여배우였습니다. ■ 제인맨스필드 마릴린먼로의 그늘에 가린 비운의 여배우 제인맨스필드(Jayne Mansfield)는 미국 펜실베니아의 비교적 괜찮은 중산..

세상이야기 2014.11.22

베가아이언2 이슈 지금 소비자에게 필요한 것은 가격의 혁신

팬택의 베가아이언2 가격인하 관련 이슈가 요 몇일 사이 연일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베가아이언2는 지난 11월 15일 부터 기존 출고가인 78만3200원에서 무려 43만원이 인하가 되어 인하 폭이 35만2000원으로 인하폭이 무려 58.7%나 됩니다. 거기다가 지난 5월에 출시가 된 최신 폰으로 제품사양은 퀄컴 스냅드래곤 801프로세서(2.3GHz)를 탑재를 하여 갤럭시S5와 동급의 프로세서를 탑재를 하고 있고 5.3인치 Full HD Super AMOLED 디스플레이 장착, RAM 3GB, 1300만 화소수의 후면카메라를 장착하였고 표준 배터리 용량은 3,220mAh로 오히려 갤럭시S5의 2,800mAh 보다도 용량이 더 높습니다.아울러 통신규격은 4G(LTE-A)를 지원하고 있구요. ■ 베가아이언2 소..

IT & Mobile 2014.11.21

사물인터넷 IoT에 대한 쉬운 이해, 상상력을 자극하는 용어

사물인터넷 (Internet of Things) 이란 용어가 생소하신 분들도 계시겠지만 우리는 이미 많은 공상과학영화를 통해서 그리고 우리 생활속에서 간간히 사물인터넷을 접하고 있습니다.이 용어는 1999년도 부터 캐빈 애시톤(Kevin Ashton)이라고 하는 사람이 Procter&Gamble(P&G)에서 RFID를 활용한 supply chain 관리업무 담당 시 처음 언급하여 사용하기 시작하였다고 하는데 누가 처음 이 말을 사용했는지도 사실은 별로 중요하지는 않다고 여겨 집니다. 어차피 기술이 발전하게 되면 우리들의 상상력이 현실로 다가올 미래의 기술이기 때문이기도 하구요.저는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캐빈 애시톤(Kevin Ashton)보다도 훨씬더 이전에 많은 공상과학 소설가들이나 영화감독들이 이 용어..

IT & Mobile 2014.11.21

광해군 드라마 왕의얼굴 에서는 어떻게 표현하게 될까?

조선시대 역사에서 광해군 시대를 전후로 해서 참 많은 역사적 사건들이 일어 났기에 광해군의 이야기는 여러편의 드라마나 영화로 참 많이도 만들어 지는 듯 합니다.이번에는 KBS 왕의얼굴 이라고 하는 드라마를 통해서 조선시대 역사상 가장 오랜 시간동안 세자를 지내며 역경을 이겨낸 광해군의 이야기를 관상이라는 소재를 통해서 재미나게 풀어 보려고 하고 있네요. 관상이라고 하는 것은 비단 얼굴만 보는 것이 아니라, 수상(손의 모양), 족상(발의모양)까지도 보고 더불어 자세나 주변의 기운까지도 관찰을 한다고 하더군요. 조선의 임금이라면 비단 광해군 뿐만 아니라 다른 임금들도 사람의 관상을 보는 것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는 익혔을 것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워낙에 역모와 살해등의 위협을 많이 받다 보니 사람을 가리는 것..

사회 시사 2014.11.20

가치투자 쉽고도 어려운 이야기지만 꼭 지켜야할 원칙이 있다면

과거 주식투자라고 하는 것을 처음으로 접했던 것은 장생활을 해서 모은 돈을 증권회사에 다니는 친구에게 맡기면서 부터 였습니다. 당시 중형차 한대 가격 정도를 맡겨서 외제차 탈거라는 부푼 마음으로 투자를 한 것이죠.주변 친구들 중에서 증권회사에 다니는 친구들이 워낙에 많다 보니 학창시절 그래도 고교시절 가장 성적도 좋았고 좋은 대학을 나왔던 친구에게 돈을 맡겼으나 결과는 정말 참담했었습니다. 외제차는 고사하고 오토바이 한대도 못살 만큼 손실이 컸었으니까요.그런데 당시 증시는 눈감고 아무 종목이나 찍어도 될 만큼 좋았었는데 참으로 믿을 수가 없었던 결과 이긴 했었습니다.즉 소위 말하는 가치투자를 하지 않고 단타만을 노리다가 그런 결과를 가져 왔던 것입니다. ■ 가치투자 쉽고도 어려운 일 ▷ 가치투자의 의미 ..

역외펀드 역내펀드 의미 및 차이점 및 주의사항

지난 11월 18일 언론기사를 보니 미래에셋증권의 역외펀드 규모가 8조 6천억원을 돌파 했다는 기사가 있었습니다. 우리나라 증권사가 미래에셋만 있는 것은 아니니 모든 증권사를 다 합치면 우리나라도 역외펀드 규모가 상당히 커졌을 것이란 느낌이 들더군요. 주식투자를 전문적으로 하시는 분들이나 또는 펀드투자를 많이 해 보셨던 분들이야 역내펀드니 역외펀드니 하는 용어를 쉽게 이해를 하실 수가 있을 테지만 잘 모르시는 분들도 계실 듯 하여 어려운 말들은 최대한 배제하고 몇 가지 예시를 들어가면서 가급적 쉽게 설명을 드려 보고자 합니다. ■ 역내펀드 역외펀드의 의미와 차이점 ▷ 둘다 모두 해외펀드, 국내냐 국외냐 자금운용 위치의 차이 네이버 금융의 펀드 부분을 보면 국내펀드, 해외펀드 이렇게 구분이 되어져 있습니다..

삼성sds msci 지수편입은 무슨 말인가?

올해 우리나라 주식시장에서 가장 큰 이슈를 끈 스타종목은 삼성sds 주식이라 말을 할 수가 있을 듯 합니다.상장전부터 큰 화제가 되었던 삼성sds 는 지난 11월 14일 정식으로 상장을 하여 11월 19일 현재 삼성전자, 현대차, SK하이닉스, 한국전력에 이어서 단숨에 시가총액 5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지난 11월 14일에는 msci지수편입 소식도 들려오고 있습니다.삼성sds 주식의 msci지수 편입은 외국인들 투자자금의 유입에 대한 기대감을 키우고 있다고 하는데요.솔직히 무슨말인지 잘 이해가 가질 않는 분들도 많으실 듯 하여 간략하게 나마 설명을 드려 보고자 합니다. ■ 삼성sds msci 편입은 어떤 의미인가? ▷ 시가총액 상위종목 우선 msci를 설명하기 전에 우리나라 증시에 상장을 한 주..

우버택시 논란 불법이냐 서비스와 기술의 진보를 따라가지 못하는 것이냐

SNS서비스의 발달 그리고 이와 더불어 스마트폰의 빠른 보급과 함께 트렌드로 자리를 잡은 개방과 공유의 경제에 힘입어 이와 관련된 많은 비즈니스 모델이 등장을 하면서 그 중 하나인 우버택시가 등장을 하였지만 현재 우버는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도 기존 택시사업자들의 생계를 위협하는 강력한 비즈니스 모델로 등장을 하면서 큰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이미 서비스를 시작한 우버택시에 대해서는 이미 서울시의 경우 지난해 9월 알선수수료 20%를 받는 행위는 여객운수사업법 위반이라며 고소를 했고 올해 9월에는 우버코리아 법인이 속한 삼성세무소에 사업자 등록 말소를 요청해 놨다는 소식이 있었으나 지금까지도 우버택시 논란이 일고 있는 것을 보면 여전히 어떤 법적인 조치는 제대로 취해지지 않은 것..

사회 시사 2014.11.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