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 경제 증권

파생상품의 일종 선물거래란 무엇일까 쉽게 파악해 보기

명가공인 2014. 10. 7. 12:14
반응형

선물거래란 무엇일까요?


뉴스를 통해서 수시로 들어 볼 수 있는 용어인데 우스갯소리로 특별한 날을 축하해 주기 위해서 주는 선물을 거래하는 것일까요? 증권시장에서 주로 등장하는 용어라서 설마 그런 것인 당연이 아닐 거라 생각을 하구요.

지난번 포스팅에서는 옵션거래에 관한 사항을 짚어 봤었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선물거래란 어떤 것인지를 예시를 통해서 최대한 쉽게 설명을 드려 보도록 하겠습니다.


 ■ 선물거래(先物去來, futures trading, forward transaction)


제목에 한자인 先物去來  그리고 영문인 futures trading, forward transaction이라고 하는 것을 같이 적은 것을 보면 조금 감이 오시는지요? 말 그대로 미래 상품에 대한 가치를 예측하여 거래를 하는 것이라 1차적으로 먼저 이해를 해 보시면 됩니다.


예를 통한 선물거래 이해하기

올해 추석은 9월 8일로 유난히도 빠른 추석이였습니다.

당연히 이른 추석이다 보니 과일이나 기타 농산물들 같은 경우에는 이른 재배시기다 보니 가격이 당연히 높아질 것이라 생각을 하게 될 것입니다.


이에 미래에 과일 가격이 높아질 것이라 예상을 하고 과수원의 농장주와 미리 정해진 가격으로 계약금을 주고 계약을 해 둘 경우 과일값이 폭등을 하더라도 이에 대한 손실을 막을 수가 있게 되는 것이죠.


우리가 일반적으로 하는 거래중에서도 상당수의 선물 거래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파트 분양을 받는 경우에 선분양 후 시공이라고 한다면 미리 아파트가격을 정해 두고 계약금을 치루고 중도금 잔금을 미래에 지불하는 경우이기 때문에 향후 집값이 어떤 변수로 인해서 폭등을 할 지라도 계약 이행을 해서 집을 사면 되는 것이니 그런 것 또한 일종의 선물 거래라고 봐야 겠지요.


자 그럼 조금더 약간만 어렵게 들어가 볼까나요?

예를 들어서 내가 쌀을 10가마니 가지고 있고 현재 가치가 1,000만원이라고 가정을 해 보겠습니다.

몇일이 지나고 보니 쌀값이 폭등을 하여 10가마니에 1,200만원이 되었다고 한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이럴 경우 현재 가지고 있는 쌀을 1,200만원에 시장에 내다 팔고 다시 쌀 10가마니를 1,000만원에 매수할 수 있는 선물을 구입을 하면 되겠죠? 이럴 경우 선물시장에서는 매도차익거래를 했다고 이야기를 합니다.


반대로 다시 쌀 10가마니를 1,000만원에 살 수 있는 선물을 사두었는데 몇일 지나고 보니 다시 쌀값이 떨어져서 10가마니에 800만원 수준으로 떨어졌다고 한다면 다시 반대로 보유하고 있는 선물을 매도하고 쌀10가마니인 현물을 800만원 주고 구입을 하면 되겠죠?

이럴 경우에는 매수차익 거래를 했다고 말을 하는 것입니다.


보통 이런 거래는 사람이 직접하지를 않고 프로그램에 입력을 해두어 컴퓨터가 자동으로 알아서 하도록 만들어 두기 때문에 이런 거래는 프로그램 매매 형태로 주로 이루어 지게 됩니다.


선물거래의 주요목적은 위험회피, 하지만 투기가 될 수도 있다.

앞서 설명을 드린바와 같이 내가 가지고 있는 상품의 가치가 미래에 떨어질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혹은 내가 살 물건이 미래에 지나치게 오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 진 것이 선물거래 입니다.

수입업자들 같은 경우에는 결제해야할 외화가 폭등할 것을 우려해서 외환선물거래 같은 것을 통해서 위험방지를 하기도 하구요.

하지만 이런 위험방지 목적 이외에도 투기의 목적으로 선물 거래를 하는 경우도 상당히 많기는 합니다.


예를 들어 집을 구입할 때에도 처음에는 계약금을 10% 정도만 납부하고 집구매 계약을 할 수가 있듯이 선물 거래 역시도 10~15% 정도의 증거금만 납부를 하고 계약을 할 수가 있기에 위험회피의 목적이 아닌 투기의 목적일 경우에는 상당히 큰 위험을 감수해야 할 수도 있다는 사실을 인지해 두시고 선물투자에 임하시길 바랍니다.


우선 선물거래란 어떤 것인가 하는 것은 이정도 이해를 해 두시고 나면 다른 선물관련 용어들을 접할 때에는 보다 쉽게 이해를 하실 수가 있으실 겁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