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시사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과 국내 2차전지주 하락, 그 여파와 전망

명가공인 2025. 1. 21. 22:24
반응형

1. 주요 이슈 개요
2025년 1월 21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 직후 친환경 산업 정책을 폐기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하면서, 국내 2차전지 관련 주식 시장이 큰 타격을 받았습니다. 이 행정명령은 조 바이든 전 대통령이 추진했던 '그린 뉴딜' 정책의 종식을 알리고, 전기차 의무화를 폐지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2. 국내 2차전지 시장의 하락세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 발표 후, 국내 주요 2차전지 주가가 급락했습니다.

- 배터리 셀 제조사
  - LG에너지솔루션: -4.32%
  - 삼성SDI: -3.90%
  - SK이노베이션: -3.71%

- 소재 업체
  - 에코프로비엠: -8.62%
  - 포스코퓨처엠: -9.88%
  - LG화학: -4.75%
  - 엘앤에프: -5.68%

- 기타 관련 업체
  - SK아이이테크놀로지(분리막): -7.63%
  - 더블유씨피: -5.37%
  -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동박): -4.16%
  - 포스코홀딩스(리튬 공급망): -4.80%

이처럼 전기차 시장과 직결된 기업들이 일제히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3. 트럼프 행정명령의 주요 내용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은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1) 전기차 구매 의무화 폐지  
   소비자의 차량 선택을 제한하는 규제를 없애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2) 내연기관차 판매 제한 폐지  
   일부 주정부가 시행 중인 내연기관차 판매 제한 규제를 철회하도록 했습니다.

(3) 그린 뉴딜 정책 종료  
   2030년까지 미국 신차의 50%를 전기차로 전환하겠다는 바이든 전 대통령의 목표를 폐기했습니다.


4. 증권가의 전망과 반론
전문가들은 이번 하락세가 과도하다는 의견도 제시하고 있습니다.

- IRA 폐지 불가능성  
  미래에셋증권 김철중 연구원은,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의 폐지·변경은 행정명령만으로 이뤄질 수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 장기적 성장 전망  
  유진투자증권 한병화 연구원은, 에코프로비엠이 2025년 2분기부터 흑자 전환할 것으로 예상하며, 전기차 및 배터리의 구조적 성장은 지속될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5. 자동차·철강 업종의 영향
- 자동차주
  현대차(-0.96%)와 기아(보합)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불확실성으로 인해 주가가 흔들렸습니다.

- 철강주
  트럼프 대통령의 캐나다·멕시코 관세 언급으로 하락세를 보였으나, 일부 에너지 강관 기업(세아제강 등)은 상승세를 기록했습니다.


6. 신재생에너지와 방산·우주산업의 대비적 흐름
- 신재생에너지 업종  
  트럼프 대통령의 파리기후협약 탈퇴 선언으로 한화솔루션(-6.30%)과 OCI홀딩스(-1.36%)가 약세를 보였습니다.

- 우주·방산 업종  
  트럼프 대통령이 우주 탐사 계획을 언급하면서 한화시스템(6.54%)과 한화에어로스페이스(3.18%) 등이 강세를 보였습니다.

7. 결론 및 전망
이번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변화는 단기적으로 국내 2차전지주와 신재생에너지 업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전문가들은 전기차 시장의 구조적 성장이 지속될 것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투자자들은 단기적 하락에 휩쓸리기보다는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시장을 바라보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여겨 지긴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