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이지지 방향과 계절의 개념으로 이해해 보기
지난 글에서는 십이지지의 의미와 음양오행에 관한 적용이론 등을 간략하게나마 살펴 보았습니다. 이러한 이론들은 외운다기 보다는 자주 눈으로 접하고 큰 틀에서 이해를 해 보려고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외우려고 하다 보면 결국은 시간이 지나면 잊어버릴 수 밖에는 없는 것이니까요. 이번 글에서는 십이지지를 12달, 계절의 개념으로 이해해 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1. 방향의 감각으로 보는 십이지지 앞선 글에서도 십이지지를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 순서만 익힐 것이 아니라 입춘이 들어와 봄의 시작을 알리는 인(寅)부터 시작을 해서 묘(卯), 진(辰), 사(巳), 오(午), 미(未), 신(申), 유(酉), 술(戌), 해(亥)), 자(子), 축(丑), 순서도 함께 익혀 두는 것이 좋다라는 말씀을 드렸습니다...
2020. 4. 25.
십이지지의 의미와 음양오행의 관점으로 해석해 보기
지난 포스팅에서는 천간의 의미와 음양오행에 관해서 살펴 보았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지지의 의미와 음양오행에 관한 적용을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지지의 의미 자(子), 축(丑), 인(寅), 묘(卯), 진(辰), 사(巳), 오(午), 미(未), 신(申), 유(酉), 술(戌), 해(亥))를 십이지지라고 이야기를 합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쥐띠, 소띠 등 12개의 띠로 지지를 이해하고 계신 분들도 있으실 테지만 지지를 이해기 위해서는 띠에 대한 개념은 잠시 잊고 지지의 개념에 접근을 해 보아야 합니다. 앞서 천간을 눈에 보이지 않는 정신세계, 또는 에너지라고 한다면 지지는 눈에 보이는 물질세계로 표현을 할 수가 있다고 이야기를 했습니다. 예를 들어 하늘에서 태양과 비가 내림으로서 땅의 생물이 자라나듯..
2020. 4. 23.
천간의 의미와 음양오행으로 구분지어 보기
사주명리학을 공부하기 위해서는 음양오행의 원리를 이해하고 다음으로는 천간과 지지에 대한 공부가 필요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천간에 대해서 알아보고 천간을 다시 음과 양으로 그리고 천간을 오행으로 구분지어 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1. 십 천간의 의미 갑(甲), 을(乙), 병(丙), 정(丁), 무(戊), 기(己), 경(庚), 신(辛), 임(壬), 계(癸)를 십천간이라고 이야기를 합니다. 천간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아직 설명하지는 않은 12지지를 함께 설명을 할 수 밖에는 없을 듯 합니다. 일단 12지지는 우리가 잘 알고 있는 12가지의 띠인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 정도만 알아 두시기고 천간의 의미를 살펴 보시기 바랍니다. 천간을 눈에 보이지 않는 정신세계, 또는 에너지라고 한다면 지지는 눈에 ..
2020. 4.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