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 경제 증권

기준금리란 무엇이며 왜 민감하게 반응해야 하는 것인가?

명가공인 2019. 1. 23. 10:43
반응형

 한국은행은 지난해 2018년 11월 30일 기준금리를 0.25%p 올려 현재 기준금리는 1.75%p 입니다.

 

현재 가계 대출을 받고 있는 분들 이시라면 금리의 변동에 따른 그 파급 효과가 만만치 않은 일이라 여기실 겁니다. 
그러나 여전히 많은 분들이 금리 변동에 큰 영향을 주고 있는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변동에 대해서 무덤덤한 반응을 보이고 심각하게 생각을 하시지는 않는 다는 것이죠.

 

그렇다면 부동산 구입시 왜 기준금리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해야 하는 지를 간략히 짚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글이 불편하신 분들께서는 유튜브 영상을 통해서 편하게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기준금리란 무엇인가?

 

 

한국은행의 설명에 따르자면 기준금리란?

 

어려운 용어를 배제하고 쉽게 설명을 드리자면 한국은행이 시중은행들에게 단기로 돈을 빌려주거나 빌려 올 때 적용하는 이자율인 것입니다.


기준금리는 한국은행에서 시중자금을 조절하는 수단으로 사용을 하고 있죠.

경기가 나쁘면 금리를 낮춰서 시중에 자금을 풀어 경기를 부양시키기도 하고 경기가 좋아서 자금이 시중에 너무 많이 풀린 상태라면 물가조절을 위해서라도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 하기도 합니다.
그런데 우리나라의 경우 현재 좋지 않은 경기임에도 불구하고 내부적으로는 가계대출의 조절을 위해서 그리고 대외적으로는 미국금리 인상에 따른 압박으로 인해서 어쩔 수 없는 금이 인상이 이루어 진 것으로 봐야 할 텐데요.

 

우리나라 기준금리 변화

 

 


우리나라 기준금리 추이를 살펴보자면 2000년대 들어와서 2001년과 2009년 기준금리가 5.25%p로 최고치를 기록한 적이 있었으며 2009년 이후로는 꾸준히 저금리 기조를 보이고 있는 상황입니다.
글로벌 금융위기와 경기 불황 등의 여파가 대외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에 큰 영향을 미쳤고 국제적인 흐름에 따라서 우리나라의 기준금리도 지속적인 저금리 기조를 보이고 있었습니다.
그러다가 우리나라 기준금리는 최근 2017년 11월 30일 1.5%p, 지난해 2018년 11월 30일 1.75%p로 변동되어 최근 2년간 두 번의 인상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기준금리 변동에 따른 숫자의 착각에 빠지지 말아야 합니다.
사람들은 눈에 보이는 숫자만 보고 별거 아니라 여기는 경향이 있는 듯 합니다.
기준금리 인상 인하를 이야기 할 때 왜 퍼센트 포인트라고 이야기를 할까요?
꼭 포인트를 붙이는 이유는 기존 대비 증감률을 나타낸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앞서 말씀 드린 바와 같이 우리나라의 기준금리는 최근 2년간 두 번의 인상이 있었습니다.
1.25%p에서 2년간 두번 금리 인상이 단행되어 현재는 1.75%p입니다.
기준금리가 고작 0.5%p 오른 것에 불과한데 뭐가 큰 문제일까 생각을 할 수도 있을 테죠.

그러나 조금만 생각해 보면 기준금리가 0.5%p가 오른 것이지 0.5%가 올랐다는 의미가 아니라는 것을 금방 알 수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기준금리가 1%p에서 2%p로 올랐다는 것은 금리가 두 배로 올랐다는 뜻이겠죠?

결국 우리나라의 기준금리가 1.25%p에서 2년동안 0.5%p올랐다는 의미는 금리가 40%가 올랐다는 것입니다.
이자가 40%나 오른 건데 엄청나게 오른 것이라 봐야겠죠.


따라서 기준금리 인상률에 따른 파장은 생각 이상으로 클 수가 있다는 것입니다.

돈을 하나의 상품이라 여겼을 때 한국은행이 돈의 유통 생산자라면 시중은행은 도매상이고 2금융권은 소매상 정도일 것이라 여겨 본다면, 가계 대출을 하는 최종 소비자들에게는 더 큰 마진이 붙어서 오겠죠?
그래서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금리인상이 일반 서민들에게는 더욱더 크게 느껴지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기준금리의 인상인하소식을 언론 등을 통해서 접하게 된다면 이에 대해서 최종 소비자들은 상당히 민감하게 반응을 하여 주택구입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여겨 집니다.
기준금리 변화는 주택 담보대출 시 향후 내가 감당하여야 할 이자 수준에 당연히 변화가 있을 테니까요.

주택구입시 참고가 되셨으면 합니다.

반응형